[뉴스큐브] 일상회복 시행 첫날…기대·우려 교차<br /><br /><br />오늘부터 단계적 일상회복, 이른바 '위드 코로나'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유행 이전과 가까운 일상생활로 돌아갈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위드 코로나 이후 우리가 맞이할 일상생활 풍경은 어떤지, 김경우 인제대 서울백병원 교수, 고현준 시사평론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오늘부터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새로운 방역체계가 3단계에 걸쳐 시행됩니다. 일단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을 풀어주는 내용이 아닐까 싶은데요?<br /><br /> 사적모임 인원 제한은 접종자·미접종자 구분 없이 수도권은 10명, 비수도권은 12명까지 허용됩니다. 수십 명이 단체로 회식을 하는 모습은 아직 보기 어려운데, 사적모임에 대한 완전한 해제는 언제가 적당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유흥시설이나 실내체육시설 등 일부 고위험 시설에 한해 접종 완료자와 진단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만 출입을 허용하는 '방역 패스'가 적용됩니다. 현장 혼선을 줄이기 위해 1∼2주의 계도기간을 두고 시행하는데요. 다만 형평성 논란은 여전한 듯합니다?<br /><br /> 단계적 일상회복은 코로나19의 완전한 종식보다는 공존을 준비해야 한다는 개념이죠. 오늘 정부는 "생활 속 방역수칙 지켜달라"고 강조하기도 했는데요. 일상회복의 연착륙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남은 과제는 무엇입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가 1,686명 늘었습니다. 닷새 만에 2천 명 아래로 내려왔지만, 주말과 휴일에는 검사 건수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데요. 백신 접종률 70%를 넘어섰지만, 연일 증가세를 보이는 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 사흘간 전국 대도시 유흥가에서 핼러윈 축제가 이어졌죠. 지난 주말 전국에서 1천여 명이 방역수칙 위반으로 적발되기도 했는데, 이번 계기가 재확산의 고리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앞서 의협에선 하루 확진 2만 명 가능성도 언급이 됐는데, 앞으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증가하게 될까요?<br /><br /> 한편 이런 가운데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 진입 후 환자 발생 전망과 관련해 2∼3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그러면서 "백신 미접종군·고령층·취약시설을 방어할 수 있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것"이라고 설명했는데요. 확진자수 증가, 어떻게 보십니까? 대처 가능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